지역 노동계가 4월 총선을 앞두고 강력 투쟁을 결의한 가운데 전남CBS는 지역 노동계의 올 한 해를 전망해 보는 연속 보도를 마련하고 있다.
두 번째로, 포스코 광양제철소에 대해 4조 4,000억 원을 지역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지역 노동계의 요구를 분석한다.
포스코가 지난해 말 적립한 잉여금은 40조 원이다.
또 포스코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4조 1,960억 원이다.
노동계는 포스코가 잉여금의 10%인 4조 원과 영업이익의 10%인 4,196억 원을 합한 4조 4,916억 원을 지역 사회에 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동계는 포스코의 '기업 유보율(留保率·reserve ratio 잉여금을 납입한 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이 지난해 9월 현재 8,082%(상장기업 평균 유보율 1,485%)로, 2005년 4,160%에 견줘 배 가량 늘면서 이 잉여금을 사회적 기금으로 출연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포스코의 순이익 대비 주주 현금 배당금의 경우 지난해 7,720억 원(21.3%)으로, 영업이익의 10%인 4,196억 원을 사회 환원하더라도 주주 현금 배당금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노동계는 이같이 4조 4,916억 원을 조성하면 노동자와 지역 주민의 건강권 및 생존권 보호 대책·사내하청 비정규직 차별 해소 및 정규직화·원/하청 불공정 거래 개선 및 성과 공유·건설 노동자 처우 개선 및 화물 운송료 현실화 등으로 활용하면 된다고 기대했다.
민주노총 전남지역본부와 광양 진보연대·통합진보당 광양시위원회 등은 한파와 강풍이 몰아치는 7일 오전 11시 광양제철소 소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런 요구가 "포스코가 지역과 함께 살아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점기 광주전남진보연대 공동대표도 참석해 "포스코가 세계적 기업답게 변해야 한다"며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도 특정 기업만 잘 사는 노선을 수정해야 한다고 제시하는 등 포스코를 위해서도 함께 가는 길을 선택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